반응형

Spring Boot 프로젝트 세팅
https://start.spring.io/
위 url 접속

하면 이런 화면이 나온다.
모든 설정 입력하고 의존성을 등록해야한다.
일단 4가지 정도 등록하였다.
- Spring Boot DevTools
- Spring Configuration Processor
- Spring Web
- lombok
Generate 를 누르면 .zip 파일로 프로젝트가 다운로드 된다.
** 만약 Spring Boot 에서 view단을 jsp를 사용할꺼면
의존성이 추가로 필요하다
pom.xml에 추가로 넣어주면 된다.
<dependency>
<groupId>org.apache.tomcat.embed</groupId>
<artifactId>tomcat-embed-jasper</artifactId>
<scope>provided</scope>
</dependency>
이제 vscode도 세팅이 필요하다.
VSCODE 세팅
vscode의 좋은 점 중 하나인 여러 플러그인을 사용하려고 한다.
사용중인 플러그인은 이렇다.
- Extension Pack for JAVA
- Spring Boot Extension Pack
- Lombok Annotations Support for VS Code
- Meterial Theme
- Meterial Icon Theme
- Prittier
사용중인 폰트 : Fira Code
https://fonts.google.com/specimen/Fira+Code
일단 이정도만 하고 필요한건 추가로 설치하면 된다.
이제 Ctrl + , 을 눌러서 세팅 파일을 연다.

오른쪽에 보면 문서모양 아이콘이 있는데 JSON 형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.
{
"editor.wordWrap": "on",
"editor.fontFamily": "'Fira Code'",
"editor.fontLigatures": true,
"editor.mouseWheelZoom": true,
"editor.lineNumbers": "on",
"editor.minimap.enabled": false,
"editor.colorDecorators": true,
"editor.codeLens": false,
"editor.tabSize": 4,
"prettier.tabWidth": 4,
"prettier.useTabs": true,
"emmet.includeLanguages": {
"javascript": "javascriptreact"
},
"[html]": {
"editor.defaultFormatter": "vscode.html-language-features"
},
"[javascript]": {
"editor.defaultFormatter": "esbenp.prettier-vscode"
},
"[json]": {
"editor.defaultFormatter": "vscode.json-language-features"
},
"[css]": {
"editor.defaultFormatter": "esbenp.prettier-vscode"
},
"[java]": {
"editor.defaultFormatter": "redhat.java"
},
"javascript.updateImportsOnFileMove.enabled": "always",
"prettier.vueIndentScriptAndStyle": true,
"prettier.jsxSingleQuote": true,
"prettier.singleQuote": true,
"editor.defaultFormatter": "esbenp.prettier-vscode",
"prettier.quoteProps": "consistent",
"editor.codeActionsOnSave": {},
"editor.formatOnSave": true,
"workbench.startupEditor": "none",
"prettier.printWidth": 200,
"window.zoomLevel": 1,
"workbench.colorTheme": "Material Theme",
"editor.fontSize": 16,
"files.candidateGuessEncodings": ["utf8"],
"files.autoGuessEncoding": true,
"notebook.defaultFormatter": "esbenp.prettier-vscode",
"explorer.compactFolders": false,
"workbench.iconTheme": "material-icon-theme"
}
위에 내용을 복사하면 어느정도 세팅이 완료된다.
서버 실행
이제 vscode 를 보면

없던 2가지 아이콘이 생겼다.
아래 전원버튼 같이 생긴것을 누르고

APPS 에서 실행 버튼을 누르면 톰캣이 실행된다.
Spring Boot 내부에 톰캣이 자동으로 설정되어있다.
포트번호는 기본적으로 8080 이다
이제 브라우저 창에서 localhost:8080을 입력하면
화면이 뜨는 것을 볼 수 있었고 서버가 잘 실행된 것이다.
반응형
'Spring bo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 Boot] JWT 저장하기 (0) | 2024.08.09 |
---|---|
[Spring Boot] DB 비밀번호 저장 암호화 (0) | 2024.07.26 |
[Spring Boot] application.properties 파일 테스트용 생성 후 연결하기 (2) | 2024.07.25 |
[Spring Boot] 어노테이션 정리 (1) | 2024.07.24 |